교감 일기(2018~)

2024년 2월 14일

멋지다! 김샘! 2024. 2. 14. 11:08

  SNS에서 교장이나 교감에 대해서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주장에 괜히 짜증이 난다. 그 사람이 가진 생각대로 세상이 움직여지질 않을 텐데도 왜 나는 방어적일까?
  나도 지금의 교감과 교장 제도를 개선해야한다는 데에 동의한다. 질적인 차이는 지금 교감과 교장 하는 사람을 개선의 대상으로 설정하지 않는다.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교육환경, 교육문화의 차이를 인정하며 다른 나라의 한 부분을 떼어와서 우리나라에 이식하자고 주장하지 않는다. 나라마다 고유의 환경과 문화로 각각의 제도를 발전시켰는데, 그만큼 그 제도는 그 나라의 모든 것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그 제도 안의 습관과 정책도 그 제도 안의 다른 습관과 정책과 복잡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데, 한 부분을 딱 떼서 이식하면 그 나라에서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리 없다. 거부반응으로 유기적인 관계가 깨어지고 끊어져 생색만 낸 이상한 제도, 없애버리자니 잘못을 인정하는 꼴이 되어 그러하지도 못하는 천덕꾸러기로 남아서는 행정력만 낭비한다.

  우리나라 안으로 좀 더 좁혀서 생각하면, 교육부와 도 교육청에서 대통령, 장관, 교육감이 바뀌면 개혁과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정책을 펼친다. 불만 없다.
  그런 정책들이 천덕꾸러기와 누더기가 되지 않으려면, 개혁과 혁신하려는 기존 정책을 없애거나 개량하여 중복성을 없애야 한다.
  기존 정책을 잘 수행하고 있었던 사람에게 책임을 물을 게 아니다. 그 사람들이 새로운 정책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신념을 공유하여 역량을 향상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역량이 검증되지 않은 신념만 함께 나누는 새 사람을 억지로 그 자리에 앉히려다보니 인사 문제가 그 정책을 뒤덮어 버린다. 인사 문제가 두고두고 리더십의 걸림돌로 작용하여 권력자의 신뢰를 잃게 한다.
  혁신과 개혁할 수 있는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어야 한다. 정책을 발표하곤 무턱대곤 하라는 식이다. 누가 해야하느냐고 되물으면, 자기 일 잘하고 있는 특정 직위(예를 들면 교감)가 제 할 일을 안 하고 있다며 감정적인 신념으로 호도하며 떠맡긴다. 이런 일이 거듭될수록 새로 생기는 정책에 따른 일은 교감이나 교장이 떠안아야한다며 감정적으로 강요한다. 교감이나 교장이 그 고유 업무인 관리, 조정, 결정을 등한 시 하고 구체적인 업무를 직접 기안하고 결재할 때 소통에 기반한 민주적인 학교 문화에 도움이 될까? 그 업무를 할 사람과 예산을 명확하게 특정하고, 특정할 수 없으면 현실적인 지원을 마련하고 그럴 수마저 없으면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 그 정도는 학교장의 역량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그래야 학교장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되묻는다 그동안 학교장의 주체성과 자율권을 확대했나? 아니면 학교장과 학교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다양한 방법으로 축소했나?

  사람은 같은 편이 되면 같은 편을 해치는 경향이 덜하다.
  외국의 제도와 정책을 이식하든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든 다른 편을 고착하려는 실천 전략은 싸움을 부추겨 잠시 승리할 수 있지만 승자는 바뀌기 마련이다.
  혁신과 개혁으로 진보하려면 같은 편이 되는 실천 전략이 필요하다.
  나는 그걸, 그러자고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