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
1. 사람은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지 질문해야 하고 또 대답을 준비해야 한다.
2. 나이가 들면서, 성숙해가면서, 세상의 변화에 맞춰 그 대답이 달라져야 한다.
3. 자신이 인간의 삶에 변화를 일으킨 적이 있는가?
4. 내가 잘하는 것과 나의 가치 중 어느 것을 택해야 될까?
5. 아침에 면도를 할 때(또는 립스틱을 바를 때) 거울 속의 내 얼굴이 어떤 사람으로 보이길 원하는가?
-런던 주재 독일대사 소비에스키의 거울 테스트
6. 내가 공헌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를 결정하기 전에 18개월에서 2년 사이에 어떤 결과를 성취해야만 하는가?를 반문하고 결과는 의미 있고, 뛰어나고, 가시적이고, 가능하면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없다. 그러나 2-3년은 내다볼 수 있다. 그러면 나는 가치 있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할일은 무엇인가?
7. 내가 한일 누가 아느냐고? 내가 알지
8. 지식 근로자가 실패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새로운 지위가 요구하는 바에 다라 스스로 변신하는 능력의 부족 또는 의지의 결여 때문이다.
-민감한 사회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불평 불만만 토로하고 옛날이 좋았다고 회상하는 선생님들이여, 세상이 변할때 나는 무엇을 했고, 변화의 물결에 내 스스로 변화하기를 포기하지 않았는지?를 되물어 보자. 그리고 가르치기를 좋아하는 선생님들이시여 승진하지 못했다고 명예퇴임을 하지말고 교사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새로운 변화에 빠르게 적용하여 우리교육을 이끌어 주십시오. 오랫동안 가르친 선생님이 교육 전문가가 아닙니까?
9. 드러커는 우리가 배운 것을 버리고 늘 새로운 대책과 기술을 배워야 한다.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인식의틀을 깨는 탈학습(폐기학습)이 필요하다고 했다.
10. 새로운 일을 맡은 지금 내가 계속 효과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1. 미국의 최고 경엉자들이 말하는 뮥표달성의 비결은 자신들을 꾸중한 꼼꼼한 옛 상사에게 공을 돌렸다. 첫 직장에서 까다롭고 꼼꼼하며 따끔한 충고를 해주는 상사를 만나는 것은 인생의 행운이다.
-우리 교단에는 과연 몇명의 충고자가 있는가? 우리는 인기를 얻기 위해 선생님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그에 따른 가치 있는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 선생님을 하는 것이다. 저경력 선생님은 지금 나 주위의 따끔한 충고자를 존경하고 경력자는 우리 교육을 위해 따끔한 충고를 하는 사람이 되자.
12. 자신의 약점을 고치고 보완하는 데만 관심을 집중한다면 강점을 살려 성과를 올릴 기회를 놓치게 된다.
- 우리 아이들의 약점보다 강점을 보는 선생님의 눈을 기르고 강점을 살리는 교육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