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1-M. 닐 브라운; 스튜어트 M. 킬리
1. 두 가지 사고 방식: 스펀지식과 채금식
가. 스펀지식: 단순 지식 획득을 위한 방법, 집중과 기억을 요구하며 지식획득을 강조
나. 채금식: 금을 캐기 위해 자갈과 금을 분리하는 것처럼 많은 질문을 통하여 대답을 찾는 방식으로 지식 획득의 괒저에서 지식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강조
2. 비판적 질문의 강력한 이점은 토론 주제를 알지 못할 때조차도 탐색하는 질문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에 대해 비판적 질문을 하기 위해서 지구과학의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3. 우리가 이슈에 감정적으로 휘말리게 되면 다른 입장에 대한 잠재적인 좋은 이유들, 즉 주의 깊게 듣기만 하면 그 이슈에 관해 마음을 바구게 할 만큼 충분한 이유들을 고려하지 못할 수 있다.
-중요한 정책을 입안하거나 결정하려고 할때 비판적인 질문을 하려고 하다가도 상대방에 대한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좋은 것이 좋다.'식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수련됨 의견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여 실천도 되지도 않고 조직의 변화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사라지고 만다. 그야말로 계획에서 끝나버리고 마는 것이다. 이슈에서 감정을 제외한 비판적 질문을 즐기자!
4.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는 현재의 믿음을 옹호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을 이용하는 것이고,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는 모든 주장과 믿음, 특히 자신의 주장과 믿음을 평가하기 위해 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5. 올바른 질문( 비판적 질문 목록) - 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질문법
가. 이슈와 결론은 무엇인가? - 상대방의 문제제기와 주장은 무엇인가?
나. 이유는 무엇인가? -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다. 어떤 단어나 어구가 애매한가? - 어려운 낱말이나 이해가 되지 않은 문장이 있는가?
라. 가치 갈등과 가치 가정은 무엇인가? - 주장과 반대되는 다른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가?
마. 기술적 가정은 무엇인가? - 열거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주장에 앞서 무엇을 내세우는가?
바. 추론에 오류가 있는가? - 주장하기 위한 문제제기, 근거, 반대 의견 등이 논리적이고 올바른가?
사. 증거는 얼마나 훌륭한가? -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인가?
아. 경쟁 원인이 있는가? - 주장해야만 되는 원인이 있는가?
자. 통계에 속임수가 있지는 않은가? - 인용된 자료가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있는가?
차. 중요한 정보가 빠져 있지는 않은가? - 인용된 정보보다 더 신뢰가 가는 정보가 있는지?
카. 어떤 합당한 결론이 가능한가? - 내용이 채금식 질문에 의해 가치 있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