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10일
아이들의 안전한 등교를 돕고 교무부장과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고 기획회의를 했다.
학교장 회의 전달 내용이 많았다.
학교에 적용해야 될 내용은 관련 선생님께 전달하며 구체적인 실행 방법은 협의하여 시행하자고 했다.
복무에 관련된 내용은 정리했다가 다음 주 교직원 협의회에서 전달할 생각이다.
외국학교와의 교류로 해외출장을 가는 담임선생님이 있어서 대체 강사에게 아이들의 특성, 생활지도 시 유의점, 학습지도, 특별히 당부해야 되는 점 등을 사전에 철저히 전달하라고 했다. 아울러 해외 체류 중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을 정했다.
공문을 결재할 때 비교적 꼼꼼히 보는 편이다. 이유는 단순 실수를 포함하여 누락되거나 잘못된 정보에 의해 예산 지원을 비롯하여 필요한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일관성 없는 통계로 신뢰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물론 잘못된 경우는 내가 수정하여 결재한다. 시간이 많이 걸릴 뿐이다.
오늘은 공문이 제법 된다.
놀이 시간에 아이들이 놀고 있는 공간을 둘러보았다. 예전부터 하고 싶었는데 그동안 시간이 안 되어 못했다. 오늘부터 틈나는 대로 아이들을 지켜볼 생각이다.
아이들의 안전을 위하여 개방된 장소에서 놀고 돌을 비롯한 딱딱한 것을 던지지 않는 것, 발로하는 공놀이는 운동장에서, 사용한 체육 또는 놀이기구의 정리정돈, 놀이 후 자기 물건(옷, 신발 등) 잘 챙기기 등의 지도는 꾸준히 해야 되겠다. 지도를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아이들이 그렇기 때문에 꾸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부드럽게 담임 선생님에게 지도를 당부할 것이다. 꾸준히 지도하자고 당부할 것이다.
기부체납 업체에 대한 교장선생님의 아쉬움이 컸다. 교육적 투자를 자랑스러워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법령이 정한 당연한 교육적 투자를 아껴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문화는 훌륭한 인재 육성이라는 국가적 정책과도 맞지 않는다. 교육에 대한 투자를 강조하면서 실상은 그렇지 않다. 우리 사회의 모순이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원래 기업은 그런 것이라고 인정하는 침묵이 현재의 모순을 키운 것 같다. 기업이 법령에 의해 교육에 투자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그렇게 안 하는 것이 큰 잘못이라는 우리의 인식부터 확고히 해야 한다. 침묵에 동화된 잘못된 인식이 많다. 바뀌어야 한다.
교장선생님은 실망하시지만 이 정도의 결론도 교장선생님의 노력이라는 생각이다.
오후에 학교 숲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숲해설가의 연수가 있었다. 환경생태 교육을 위해서 우리 학교 숲(화단)을 제대로 이해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2차 정보공시 마감이 있어서 확인하고 마감했다.
길게 끌어온 학교폭력 담당자 수업 경감을 위한 대체 강사 채용을 마무리했다. 2018. 경상남도교육청 계약제교원 운영 지침에 의거하라고 했는데, 이번 건도 교육지원청에 임용 현황 보고를 해야 되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 교육지원청, 도교육청 담당 장학사에게 전화를 했더니 출장이었다. 내일 해결해야겠다.
긴 하루였지만 내실 있게 시간을 보냈다.
#교감일기
#나쁜교사불온한생각으로성장하다 / 김상백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