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리더십

교사 리더십-신학기 학급교육과정 수립

멋지다! 김샘! 2011. 2. 22. 09:20

또다시 2011학년도의 새학기가 시작된다. 해마다 되풀이 되는 학기지만 학급교육과정 수립에 대한 뾰족한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계획을 수립 못하는 것이 아니라 반 아이들과 함께 실천할 수 있는 학급교육과정 수립이 힘들다는 것이다.
 보통 학급교육과정을 작성할때 학교교육과정을 참고하여 교사가 우리반에서 하면 좋은 것, 교사가 하고 싶은 것 등 교사 중심으로 수립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최소한 내 경험으로 내가 그랬다. 교사 중심의 학급교육과정은 대부분은 5월 정도까지는 잘 지켜나가다가 그 뒤로 흐지부지해지는 경우가 다반사일 것이다.

 이유가 뭘까?

 학급교육과정의 내용을 실천할 상대는 누구인가? 바로 학생이다. 그러면 계획 수립단계에서 학생을 참여시켜야 한다. 학교교육과정을 학생들의 수준에서 설명하고 우리반에서 학교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야 한다.
 먼저 학생들의 실태를 파악해야 됩니다. 가정환경, 학력 정도, 친구관계, 사회와 학교를 바라보는 관점 등을 이전 학년 선생님, 가정환경조사서, 생활기록부 등을 통하여 파악해야 됩니다. 보통 그냥 형식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학생들의 기본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어야 교육사태 발생시 학생을 이해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 대한 실태가 파악되었다면 학교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학급목표와 개인목표를 설정해야 됩니다. 학생들에게 '우리 학급의 현재 실태가 이러하니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될까?' 등과 같은 개방형 질문과 '00가 제시한 것을 우리가 실천할 수 있을까?'등과 같은 폐쇄형 질문 등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켜야 할 것을 스스로 정하도록 한다. 교사는 많은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에게서 산출된 내용들을 정리하여 학급교육과정의 목표와 실천계획으로 전환하면 됩니다. 그리고 학급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서 학생 개개인의 목표도 스스로 정하고 실천계획을 수립하는 좋은 방법인데, 다인수 학급의 경우에는 힘이 들 것입니다.

 목표를 정할때에 중요한 것은 목표를 높게 잡아야 합니다. 꾸준히 노력하고 실천할에만 달성할 수 있는 목표여야지 쉽게 달성되는 목표는 가치가 없습니다.
 학급교육과정의 목표와 실천계획을 학생들과 공동으로 수립하였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동기와 교사를 믿고 따를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학급은 성장과 발전을 할 수 없습니다. 학급환경 구성을 학급교육과정을 실천정도를 알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적절한 보상도 중요합니다. 보상은 물질적인 방법도 있지만 칭찬을 통한 내면적인 보상인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교사의 솔선수범하는 태도로 학생들이 교사를 믿고 따를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되도록해야 됩니다.

 선생님은 위대한 리더입니다. 위대한 리더는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제공하여 열정적으로 목표를 이루도록 돕는 사람입니다. 학급교육과정을 잘 실천하여 학생들이 목표를 이루었다면 선생님은 훌륭한 리더입니다.

 학생들을 탓하지말고 학생들을 성공으로 이끌어가야 할 일 또한 우리 선생님들의 역할입니다. 교사는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을 통하여 평가를 받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을 보면 교사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금 실천합시다.
 1. 현실을 직사하여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합시다.
 2. 높은 목표를 설정합시다.
 3. 환경을 조성합시다. -ㅡ지속적인 동기부여
 4. 교사의 솔선수범으로 학생과 교사간의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