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직은 개개인의 강점이 발휘되도록 충분한 영역을 제공해야 되고, 강점이 발휘될 때마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생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알려야 하고, 장려해야 하고, 포상해주어야만 한다. 이것이 리더십이다.
-학년말 워크샵에서 업무부장을 할때 업무를 분장해 놓고 사람을 지정하지 말고 개인의 강점에 맞는 업무를 배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렇게하기 위해서는 현행의 2월 교원인사보다는 전년 12월에 교원인사를 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것이다. 학년 배정도 마찬가지이다.
2. 어던 분야에서 나무랄데가 없는가?
3.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다섯가지 질문
가. 나는 누구인가? 나의 강점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일하는가?
나. 나는 어디에 속하는가? 그리고 어디에 속해야 하는가?
다. 내가 기여(공헌)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라. 나는 어떤 관계 책임을 져야 하는가?
마. 나의 인생의 후반부를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4.학생들이 공부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즉 성과를 올리는 방법은 다양하다. 남의 말을 듣는 형이 있고 읽는 형이 있다. 그러면 나는 어떻게 나의 성과를 올리는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 다른 사람(학생)도 어떻게 성과를 올리는지를 파악하여 존중해 주어야 한다.
5. 혼자 일하기가 좋은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일하는 것이 좋은지? 조직의 어느 위치에 있을때 그 사람이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는지? 작은 조직에서 일하는 것이 좋은지? 큰 조직에서 일하는 것이 좋은지?
-선생님들도 흔히 말하는 '깜'이 있는데 너도 나도 관리자(교감, 교장)가 되려고 하니 문제고, 능력을 무시하고 원하는 조건만 채우면 승진하게 만든 제도도 문제고, 이 조건을 채우기 위해서 자신에게 맞지 않는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것도 문제고--- ---. 승진시에 최소한 다양한 검사와 워크샵을 통해 리더십을 가진 교사를 관리자로 임명하여 그 관리자가 최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의 학교에 배치하는 것이 원론적으로 옳지 않을까?
6.상사를 관리하는 비결
가. 상사가 중시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나. 상사가 어떤 방법으로 성과를 올리는가?(듣는 자, 읽는 자)
다. 상사에게 질문하라(의사소통)
라. 정보를 공유하라.(자신의 가치, 강점, 성과 방법, 목표, 기여 방법 등을 다른 사람도 알아야 한다.)
마. 신뢰하게 약속을 지켜라.
바. 커뮤니케이션에서 상사의 야망, 가치관, 목적에 부합되는 내용을 담아라.(아부와 구별)
7.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시간을 파악하라. 파악한 시간을 연속적인 단위로 통합하라.
8. 최상의 리더는 다른 어떤 것에 앞서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이다.
9. 리더십이란?
가. 목표를 설정하고 일을 하는 것이다.
나. 리더는 리더십을 특권이나 계급으로 보지 않고 책임으로 본다.
다. 신뢰를 확보하는 일이다.
10. 지적 성실이란? - 자신이 모르는 부분은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배워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11. 직무가 달라지면 일하는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
12. 조직의 발전에 저해되는 퇴행성 질병은 단호하게 제거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학교 리더십 > 질문법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와 결론은 무엇인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0) | 2010.10.01 |
---|---|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1-M. 닐 브라운; 스튜어트 M. 킬리 (0) | 2010.09.28 |
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2 (0) | 2010.07.14 |
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 (0) | 2010.07.14 |
질문력-몸으로 드러나는 거짓말의 증거들 (0) | 201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