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

2024년 11월 27일

1.  기계 지능이 발달할수록 인간은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기계 지능을 그대로 따라 하는 편향에 갇힐 수 있어요.  그리고 기계지능은 거짓말도 잘하고 선악을 구별하지 않아요.  더 공부하는 인간이 되어 더 비판적인 사고를 길러야 해요.2.  학교는 재미있어야 하지만 재미로 공부가 되어야 해요.  작은 학교의 경쟁력은 재미있게 공부하는 곳이지 재미있게 노는 곳이 아니에요.  재미있게 가르치려는 교원들의 전문성과 열정이 작은 학교의 교육과정으로 피어나야 해요.  그래서 작은 학교의 교원은 학생이 적다고 결코 수월하지 않아요.  무엇보다 작은 학교 교원의 행복은 가르치는 보람입니다.3.  모든 학교의 상황이 교원의 전문성과 열정으로 재미있게 가르칠 정도로 녹록하지 않아요.  오히려 재..

2024년 11월 11일

읽기와 쓰기 교육을 강조한다.  읽기와 쓰기를 이벤트로 접근하는 교육을 싫어한다.  이벤트로 접근한 읽기와 쓰기 교육이 읽기와 쓰기 교육을 망쳤다고 주장한다.  바른 방법으로 읽기와 쓰기를 꾸준히 가르치고 함께하는 교육이 올바른 문해력 교육이다.   책을 읽고 글을 쓸 공간은 읽고 쓰는데 방해되지 않는 공간이어야 한다.  도서실과 도서관을 지나치게 다목적 공간으로 꾸미면 그 고유의 역할을 망가뜨린다. 최소한,  책 읽는 곳에는 스마트 기기를 모두 치워라.  인간은 지식을 수용하고 비판하며 인간답게 성장한다.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 문해력은  AI가 알려주는 정보의 비판적인 수용이다.  지식을 AI에게 의존할 때 인간은 눈치조차 채지 못하고 AI의 의도대로 행동한다.  AI는 선과 악, 진실과 거짓..

2024년 5월 19일

공교육의 목적이 좋은 직업을 얻는 것인가? 모두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사교육에 기댄 살인적인 경쟁교육-나는 우리 교육이 문제점은 있지만 살인적인 경쟁이라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는다.-은 그만둬야 한다고 너나없이 말한다. 직업을 얻는 교육이 목적이 아니라면 사교육에 기댄 경쟁교육은 매력적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우리가 공교육의 목적이 좋은 직업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대답은 위선일 뿐이다. 그래서 공교육의 혁신은 교육방법을 개선하기보다-경쟁교육보다 평등 지향 교육- 교육 목적을 인간을 위한 인간 양성에 둬야 한다. 학교가 직장의 사전 교육 장소가 되어서는 안 된다. 학교가 직장을 얻기 위한 도구로 전락할수록 좋은 직장이 선호하는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한 과도한 출혈 경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