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언설

학교문화의 단계

멋지다! 김샘! 2020. 1. 18. 08:39

1. 지리멸렬[支離滅裂], 이리저리 찢기고 마구 흩어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
학교 구성원들 간의 신뢰가 깨어진 학교
민원 같지 않은 민원이 난무하는 학교
민원이 협업으로 해결되지 않는 학교
도덕성, 전문성, 열정, 자발성, 창의성, 다양성이 상실된 학교
특별한 목적이 없으면 구성원들의 근무 기간이 1년 이하인 학교
협의회를 극히 싫어하며 상명하달, 고집과 아집이 협의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학교
개인의 자존심, 이익, 편리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학교
교사는 관리자, 관리자는 교사가 무엇을 하는지 전혀 모르면서, 알려고 하지 않으면서 탓만 하는 학교 

2. 화이부동[和而不同],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한데 어울리지 않는 일.
지위에 의한 권위를 절대적으로 존중하는 학교
상명하달식, 형식적인 신뢰가 구축된 학교
법령, 지침, 규칙, 매뉴얼을 잘 지켜 형식적인 민원이 발생하지 않는 학교
개인적인 도덕성, 전문성, 열정은 뛰어나나 자발성에 의한 창의적인 다양성이 부족한 학교
구성원 개인들의 노력으로 학생지도 실적이 뛰어난 학교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회는 현재의 지식, 지혜, 경험으로 진행되어 자발성에 의한 열정, 메타인지 능력이 부족하여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지혜가 아쉬운 학교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학교
관리자는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며 교직원은 불편하진 않지만 긴장감이 느껴지는 학교

3.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더함. 좋은 일 위에 더 좋은 일이 더해짐.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로 귀결되는 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성에 의한 열정, 전문성, 도덕성이 뛰어난 학교
격려와 배려로 고차원적인 배움 활동을 지지하는 학교 
협업을 즐기며 구성원들 간의 대화로 성장하는 학교
자유와 평등에 의한 의사결정을 즐기지만 서로의 권위를 존중하는 학교
지식, 지혜, 경험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학교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교육활동으로 학부모의 민원이 발생하지만 신뢰와 협업으로 극복하는 학교
인센티브가 없지만 구성원들의 이동이 극히 제한적인 학교

4. 주의사항
지리멸렬에서 화이부동을 거치지 않고 금상첨화로 나아가면 심각한 도덕성의 추락을 가져올 수 있음

지리멸렬에서 화이부동으로 나아가기 위해는 차이의 수용과 존중, 서로의 지위에 대한 권위를 인정해야 함
지리멸렬에서 화이부동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교의 목적, 왜 내가 교사인가에 대한 고민이 전제되어야 하며 학교를 지탱하는 법령, 지침, 규정, 매뉴얼에 대한 공부가 이루어져야 되고 이를 원만하게 이끄는 중간자가 있어야 함
화이부동에서 금상첨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금상첨화에 대한 뚜렷한 상[像]이 공유되어야 함
화이부동에서 금상첨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간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바르고 확고한 의식과 실천이 있어야 함
화이부동에서 금상첨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당당하면서 품위 있게 말하는 공부와 실천, 역지사지로 수용하는 경청의 실천이 있어야 함
화이부동에서 금상첨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협의회가 교사들에게만 머물면 안 됨
화이부동에서 금상첨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성찰에 의한 피드백이 반드시 필요함
화이부동이 아쉬워서 섣부르게 금상첨화로 나아가면 그나마 있던 개인적인 도덕성, 전문성, 열정이 사라지고 무조건적인 다수결에 의한 지리멸렬의 퇴행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감지되면 관리자의 단호한 조치가 필요함

이것저것 다 귀찮으면 도전하면서 배우고 실천하려는 확고한 의지만 있으면 됨
하지만 추구하려는 학교문화에 대한 뚜렷한 상[像]은 반드시 공유되어 나아가기 위해 함께 버티고 지지하는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관리자는 고르게 칭찬받으려는 절제보다 고르게 미움받겠다는 용기가 필요함

'교육 언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공간 구성  (0) 2020.02.03
냉정한 성찰  (0) 2020.01.23
교사의 다양한 삶을 존중하자.  (0) 2019.12.27
나는 행복학교 교감이다!  (0) 2019.12.16
경쟁교육은 무조건 사라져야 하는가?  (0) 201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