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승진을 포기한 교사들이 하는 말들이 '가정의 불행보다 가정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 관리자들의 가정은 행복하다.
2. 승진을 포기한 교사들이 하는 말들이 '승진 구조가 민주적이지 않아서'라고 한다. 하지만 승진을 포기한 교사들이 민주적 승진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실천은 없다.
3. 승진에 성공한 관리자들이 '나도 예전에는 다 그랬다고'라고 한다. 하지만 예전에 다 그랬는데 지금은 왜 못하는가?
4. 나는 승진한다. 머리 숙이고, 적당하게 타협하고, 가정 버리고, 건강 잃어가며, 비민주에 양심을 버리고 승진하지 않았다. 철저하게 저항했다. 그래서 내가 가는 학교에는 나 때문에 관리자들이 긴장했다. 그리고 이런 나에게 용기주며 도와주는 관리자도 많았다. 그런 삶이 불행하지 않았다.
5. 승진에 성공하여 몸이 아픈 분들을 많이 본다. 철저하게 관리자들의 횡포에 따랐기 때문이다. 그런 당신들이 건강을 저해하는 행위를 할 것인가? 건강을 위하여 실천하는 관리자가 될 것인가?
6. 부당한 강한 권력에 머리 처박고 있다가 연한 권력에 머리 처들며 강한 권력에 머리 처들어 부당한 불이익 당한 무리를 실천이 없다고 비난할 수 있는가? 그러는 당신은 부당한 강한 권력 앞에 어떤 실천을 했는가?
7. 실천을 주장하는 무리가 자기 주변의 부당함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옳음을 실천하려는 의지는 있는가? 그리고 어떤 실천을 했는가? 그대들의(무리) 마당에서 성토하는 것이 실천이라고 착각하지 않는가?
8.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민주주의를 차용한 불온한 무리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행위가 마치 정의를 실천하고 있다고 착각하지 않은가?
9. 사회 변혁을 위한 실천은 하지 않으면서 실천을 한다고 확신하는 무리가 너무 많다. 나는 경계한다.
'교육 언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의 유휴교실은 초등학교에 더 필요합니다. (0) | 2017.12.18 |
---|---|
혁신(행복)학교가 대안학교를 지향하는 것은 반대합니다. (0) | 2017.12.11 |
실효성 없는 교육정책은 폐기되어야 합니다. (0) | 2017.12.03 |
교사가 어떤 존재로 보이길래... (0) | 2017.11.13 |
배반[背反]의 교육 행정 (0) | 2017.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