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긴 2월을 마무리한다.
이번 2월은 무엇보다 교감이 되고 나면 꼭 하고 싶었던 한 가지를 했다.
새 학년을 맞이하기 위한 인사조직과 업무를 분장할 때 보통은 기존에 있던 교직원들끼리 협의를 한 후 복직, 전입, 신입 교직원에겐 선택권을 주는 협의회를 한다. 이 협의회를 한 것을 두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인사와 업무를 배정한 것처럼 말한다. 내 생각은 다르다.
복직, 기존, 전입, 신입이 한자리에 모여서 인사와 업무에 대한 협의를 해야 한다. 원칙은 이렇다.
관리자와 함께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떤 요인이든 불편하면 교감이 교장의 인사와 업무 배정의 원칙을 먼저 수렴한 후 맨 먼저 학교의 교육환경과 교장의 인사 원칙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협의회 시 이 원칙을 준용(準用)하도록 한다.
기존 교무부장이나 연구부장 또는 부장 중의 한 명이 협의회를 주관한다.
동등하게 말하고 수용해야 하며, 말하지 않을 권리도 철저하게 보장하지만 말하지 않음으로써 생긴 불이익은 동정(同情) 하지 않는다.
결정이 어려우면 정량과 정성을 근거로 능력과 선호의 합치, 능력, 선호 순으로 결정한다.
결과를 교감이 교장에게 보고하는데, 학교장의 원칙을 준용했는데도 협의 결과에 수정이나 난색을 표하면, 원칙의 번복은 향후 학교장의 학교 경영의 신뢰도와 직결됨을 품위 있게 설명하면 대부분의 교장은 수용한다.
교감이 된 이후 이 과정을 교사들에게 맡겼더니 잘 되지 않았다. 말로는 평등에 의한 민주주의와 학생의 교육을 주창하고 있었지만 결코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았다. 인사와 업무를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작업이라 정의하면 기득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번에 직접 나서서 작은 학교, 행복학교, 준벽지라는 장단점을 활용하여 실행했다. 이에 따른 환영과 불만을 보았지만 무시했다.
기간제 교사 채용, 스포츠강사 근로계약 체결, 학생보호인력(배움터지킴이) 위촉, 방과후학교 강사 채용-교육지원청에서 채용한 순회 강사여서 계약서 작성과 소통과 청렴 연수만 해당-, 유치원 방과후과정 자원봉사자와 특성화 강사를 방과후 강사 채용 방식으로 공개 채용-작년까지는 도교육청에서 채용하면 병설유치원에서는 계약서만 작성-했다. 이렇게 정리하고 나니 정말 간단하네...
새 학년 맞이 워크숍을 했다.
2021학년도 학교장 경영관을 경청했다.
전교직원원 모임으로 인사와 업무 배정을 발표했다.
학교장의 경영관에 맞게 근무 시간을 포함한 건전한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한 준수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리며, 새 학년에 되풀이되는 병폐 중의 하나인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지적하고 평가하는 말을 조심하자고 했다. 함부로 한 말로 학년초부터 학교 분위기 망치면 교감이 합법적으로 줄 수 있는 최대한의 벌칙을 가하겠다고 하며 상생하자고도 강조했다. 일부 철없는 교직원은, 생소한 환경, 직위, 드러난 외형만으로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나쁘다며 학교공동체에 소문을 내고는 그것을 자랑스러워한다. 상대할 가치가 없는 인간이지만 방치하면 학년초부터 학교의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가한다.
3월 2일부터 코로나 19 대응 수칙의 엄격한 적용을 포함한 모든 교육활동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자고 했다.
교사 새 학년 맞이 워크숍에 일부러 참석하여 행복학교의 철학과 궁금증, 우리 학교가 나아갈 행복학교에 대해 공유했다.
어제, 전입한 교사들에게 광범위한 학구를 직접 차를 운전하며 안내했다. 시골 학교의 전체 학구를 둘러보면 학생들의 삶이 저절로 상상이 되고, 그 상상이 학생들에 대한 남다른 관심으로 연결된다.
지긋지긋한 학교 공사도 마무리되었다.
내일은 연가를 신청했다.
낮에 책도 좀 보고 산에 가서 좋은 공기도 마시며 쉬련다.
'교감 일기(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월 4일 (0) | 2021.03.04 |
---|---|
2021년 3월 2일 (0) | 2021.03.02 |
2021년 2월 22일 (0) | 2021.02.22 |
2021년 2월 5일 (0) | 2021.02.05 |
2021년 1월 19일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