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추론에 오류가 있는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멋지다! 김샘! 2010. 10. 4. 16:22

1. 인신공격을 하는 것은 오류이다.
  왜냐하면 주장을 펼치는 개인의 성격이나 관심사는 일반적으로 논증의 질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메시지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 전달자를 공격하는 것이다.
2. 미끄러운 경사길 오류
  제안된 조치가 바람직하지 않은 사건들의 통제 불가능한 연쇄를 일으킨다고 가정하는 것. 그러나 사실 이때 그런 연쇄를 막을 수 있는 절차가 있다. 예를 들면 주류 광고를 금지하지말아야 된다고 주장하는 글에서 설탕이나 다른 잠재적으로 우리 몸에 해로운 것도 광고 금지를 주장하는 것. 이런 경우 음식에 들어가는 설탕의 양을 이미 법적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3. 완벽한 해결책 찾기의 오류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한 후에도 일부 문제가 남을 것이기 때문에 그 해결책을 채택해서는 안 된다고 잘못 가정하는 것. 예를 들면 임신중절 수술을 금지하더라도 다른 나라에 가서 임신중절 수술을 할 것이라는 이유
4. 애매성의 오류
  한 논증에서 핵심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상용되어서 의미의 변화가 생기면 그 논증은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의학적 '합의'와 사회적 구성원의 '합의'에 사용된 '합의' 의미가 다르다.
5. 대중에 호소하는 오류
  대규머 집단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서에 호소하여 정당화하려는 시도. 이것은 대규모의 집단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바람직하다고 잘못 가정하는 것이다.
6. 의심스러운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현재의 이슈에 관한 특별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권위를 인용함으로써 결론을 뒷받침하는 것. 흔히 인터넷 사이트에 있는 정보 인용, 공신력이 없는 연구단체나 기관을 인용하는 것.
7. 감정에 호소하는 오류
  독자와 청자의 주의를 적절한 이유와 증거들로부터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감정이 실린 언어를 사용하는 것. 광고, 정치적 논쟁, 법정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8. 허수아비 오류
  반대자의 입장을 공격하기 쉽도록 왜곡하는 것. 따라서 이것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관점을 공격하는 것이다. 반대자가 없는데 허구로 만들어 주장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9. 거짓 딜레마의 오류(양자택일의 오류): 두 개 이상의 선택지가 있는데도 단 두 개의 선택지 밖에 없다고 가정하는 것. 이것 아니면 저것, 유일한 대안은 ~이다. 두 선택지는 ~이다. 이것이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직 저것이 작동할 것이다.
10. 소망적 사고의 오류
  우리가 X가 참이거나 거짓임을 소망하기 때문에 X는 정말로 참이거나 거짓이라고 잘못 가정하는 것
11. 이름을 붙여서 설명하기의 오류
  어떤 사건이나 행동에 대해 이름을 붙였다는 이유로 여러분이 그 사건을 적절하게 설명했다고 잘못 가정하는 것
12. 겉만 번지르르한 일반성의 오류
  덕을 표현하는 단어(모호하고 감정적으로 호소하는)를 사용하는 것. 그런 단어는 우리가 이유를 면밀히 검토하지 않고 무언가를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
13. 주의 돌리기의 오류
  원래의 이슈로부터 주의를 돌리기 위해, 그리고 원래의 논증으로부터 다른 이슈오 주의를 전환시켜서 논증에서 "이기기"위해 부적절한 주제가 도입되는 것. 이런 오류의 귀추는 다음과 같다: (a) 주제 A가 논의되고 있다. (b) 주제 B가 마치 주제 A와 관련이 있는 양 도입되지만, 실제로는 관련이 없다. (c) 주제 A가 포기된다.
14. 논점 선취의 오류
  결론이 추론에서 다시 가정되고 있는 논증(즉 논증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를 이미 해결된 것으로 가정하는 오류. 선결 문제의 오류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