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질문하는 리더 되기: 기초편
1. 질문을 못하는 사람은 자아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다.
2. 용기는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이다.
3. '묻지 않은' 질문이 문제를 일으킨다.
4. 위험을 무릎쓸 용기가 있는 리더는 반드시 물어야 할 질문을 한다.
5. 모든 사람이 우왕좌왕하는 무지, 혼란, 위기 상황에서 참신한 질문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위대한 리더십이다.
6. 질문은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한다. 조급증은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7.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면을 성찰하게 만드는 질문이 가장 값지다.
8. 최고의 질문을 하는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먼저 한 질문 또는 그 질문의 대답을 이용하는 것이다. 먼저 경청하고 창의적 개방형 질문을 하면 상대방은 신속하고 발전적으로 상황을 훤히 꿰뚫어보고 유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9. 개방형 질문은 "왜",와 "어떻게"라는 말이 들어가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결국 토론을 유도하는 것이다.
가. ~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죠?
~에 대해 너의 생각은 어떻니?
나. ~을 더 설명해주겠습니까?
~을 더 자세히 설명해주겠습니까?
다. 어떤 가능성이 있을까요? 생각나는 게 있나요? 만약 당신이 ~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에 ( )라면 어떻게 하겠니?, 만약에 당신(너)라면 어떻게 했을까?
라. 당신이 그것(의제)를 포기하면 무엇을 잃게 될까?
너희들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을 포기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그리고 어떤 손해를 볼까?
마. 이전에 어떤 시도를 했죠?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예전에는 어떻게 했죠?
바. 다음에는 무엇을 하고 싶나요?
좀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어떻게 하고 싶나요?
10. "왜?"로 시작하는 질문은 언제나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욕구가 나타나야지, 분노와 좌절이 나타나선 안된다.
11. 현명한 리더는 무엇이 잘됐고, 무엇이 가능하며, 개선안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열린 마음과 긍정적인 태도를 갖춘 리더는 참신하고 폭넓은 대답을 자극한다.
12. 질문의 이상적인 타이밍을 포착하는 것은 예술에 가깝다.
13. 질문의 5단계
가. 말문 열기: 상대방을 편안하게 하고 말문을 열려면 친근한 개방형 질문을 하는 것이 좋다. 예) 오늘 하루 어땠어요?
나. 준비 단계: 학습 마인드가 필요하다. 목적이 비판이 아니라 학습에 있음을 상대방이 느끼도록 하고 공감대가 형성되면 질문한다.
다. 질문하기" 개방형 질문하기, 상대방과 질문 두가지에만 집중하기(질문의 속도와 타이밍 조절, 시선 일치), 침묵의 시간 주기
라. 마음의 말도 듣는 귀: 경청하면서 합의를 이끌어내고 차이를 인정하고 팀의 공동 주제, 언어, 근거를 찾는다.
마. 후속조치: 직원의 대답을 들었으면 돌려주는 것이 있어야 한다. 직원들의 답변이 유익했음을 증거로 보여주어야 한다.
14. 순수한 학습욕구에서 묻고,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상대방에게 대답할 시간을 줘야 한다.
15. 질문은 소외된 구성원을 주인으로 만든다.
16. 편안하게 질문하는 직장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질문하는 문화 조성은 상부에서 먼저 실천하고, 리더의 변화된 모습에 당황하는 직원이 있다면 솔직하게 질문하는 리더가 되기 위한 것이라고 답해주어 극단적인 정답의존형 직원과 극단적인 지시의존형 리더를 안심시켜야 한다.
'학교 리더십 > 질문법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각하는 뇌-이캐가야 유지 지음/김성기 옮김 (0) | 2010.11.17 |
---|---|
질문리더십3-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1.05 |
질문리더십-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0.27 |
추론에 오류가 있는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0) | 2010.10.04 |
이슈와 결론은 무엇인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0) | 201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