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외발적 동기부여'라고 한다.
2. 보상은 눈에 보이는 형태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목표를 달성했을때의 성취감도 외발적 동기가 될 수 있다. 목표를 높게 잡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보상을 받을 기회가 줄어들고 목표를 달성하기도 전에 좌절감을 느끼기 싶다. 따라서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달성 가능성이 있는 목표로 세분하고 점진적으로 최종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좋다. 가장 손쉬운 보상은 칭찬이다.
3. 환경 주도형 사고방식과 신체 주도형 사고방식이 있다. 외발적 동기부여에 의해 뇌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전자이고, 신체를 먼저 움직여 뇌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후자이다.
4. 스트레스를 당당하게 받아들이려는 마음가짐과 언제든 해소할 수 있다는 믿음이 필요하다.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을 안다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한다. 예)음악 감상, 드라이브, 산책, 쇼핑, 음주, 요가, 골프, 등산, 영화 감상 등
5.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는 것은 허세나 고집, 남을 무시하는 심리때문이 아니라 '자신을 유지하려는 본능'때문이다. 교실에서 예의 없이 선생님에게 꼬박꼬박 대꾸하고 고집피우는 아이들도 '자신을 유지하려는 본능'이 다른 아이보다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냥 예의없다고 생각 말고 자신이 하는 행동이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이 아니라고 설득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6. 공부하는 속도가 빠르면 처음에 접한 표면적인 정보만을 강하게 기억하기 때문에 이면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기본적인 규칙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많은 양을 빨리 진행하는 수업보다 양은 줄이고 천천히 깊이있게 하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7. 호기심과 주의력, 집중력으로 낯선 환경을 자주 만들면 뇌의 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학생들에게 호기심과 집중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자료와 발문을 제시하면 수업으로 학생들의 뇌 능력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다.
8. 집중력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창의력이 강하다. 집중력과 창의력 중 어느 쪽에 가치를 둘지는 본인에게 달려 있다. 만약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면 동요해야 한다. 심한 동요속에서 수많은 아이디어를 내는 가운데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허용적인 분위기가 창의적인 수업을 만드는 것도 여기에 있다.
9. 기억력 향상을 위해서는 최소 6시간 이상의 수면이 필요하다. 가장 효과적인 수면 시간은 7.5시간이다.-2000년 하버드대 로버트 스틱골드
10. 늘 새롭고 신선한 기분을 느끼지 않으면 뇌는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는다. 매너리즘은 뇌에 가장 큰 독이다. 매일 같은 인상, 같은 이야기, 같은 수업 패턴은 학생들의 뇌를 자극하지 못한다.
11. 고민하지 않는 사람은 기억력도 떨어진다. 기억은 미래의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미래 계획이 없는 사람은 기억이 필요없다. 학생들 가운데 가정사정이나 주변환경에 의해 미래에 대한 계획이나 희망, 꿈이 없는 학생들을 보는데 이 학생들의 공통점이 학습의욕이 없거나 학습한 것을 기억하지 못해서 학력이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학생들의 뇌를 활성화시켜서 기억력을 강화시키려면 미래에 대한 고민, 계획, 희망, 꿈을 심어주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겠다.
12. 수면은 기억을 재국축해 지식을 추출하고 영감을 준다.(레미니선스효과 reminiscence effect) 그리고 잠자기전의 마지막 학습이 가장 기억에 잘 남는다. 잠자기전에 책을 읽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 일리가 있다. 그러면 매일 저녁에 술을 먹는 사람은 그것만 기억할까?
13. 유사한 정보는 기억의 간섭에 의해 혼동되는 경우가 있으나 6시간 이상 떨어지면 기억이 균등하게 강화된다고 한다. 따라서 수학과 같이 논리적인 사고를 요하는 과목은 단번에 습득하는 것이 좋으며, 영어와 같이 암기가 필요한 과목은 매일 조금씩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 리더십 > 질문법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네기 인간관계론-데일 카네기 지음, 최염순 옮김 (0) | 2011.03.29 |
---|---|
질문의 7가지 힘 - 도로시 리즈 지음/노혜숙 옮김 (0) | 2011.01.18 |
질문리더십3-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1.05 |
질문리더십2-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0.29 |
질문리더십-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