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질문의 힘
1. 멍청한 질문이 대화의 물꼬를 트는 열쇠가 된다.
2. 1843년 존 스튜어트 밀은 <논리학 체계>를 통해 질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강한 비판적 사고가 없다면 의미 없는 의견만 늘어 놓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자기 입장만 고수하는 사람은 무지하다. 그가 논리력이 뛰어나서 아무도 그를 반박하지 못한다고 치자. 그러나 그 역시 상대방의 논리를 반박하지 못한다면, 그는 근거 없는 견해를 늘어놓는 것에 불과하므로 반감만 사게 될것이다."
3. 포드 자동차의 도널드 피터슨 전 CEO는 "올바른 질문을 많이 하면 굳이 모든 것을 알 필요가 없다."라고 했다.
4. 위대한 도약은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답을 모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최선의 통찰을 낳을 수 있는 질문을 하는 것이다.
5. 21세기는 지시 대신 질문하고, 답하는 대신 답을 찾는 것이 뛰어난 리더십과 성공의 열쇠이다.
6. 리더는 직원이 안심하고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안심하지 못하거나 위협을 느끼면 치부를 드러내지 않고 답도 하지 않으며 자신에게 유리한 질문만 한다.
7. 호기심은 질문하는 문화를 만드고 질문하는 문화는 학습하는 조직을 만든다.
8. 질문하는 문화는 공동사고에 의한 문제해결로 책임까지도 공유하는 문화다.
9. 질문하는 문화가 있는 조직 구성원의 6가지 특징
가. 선뜻 "모른다"고 인정한다.
나. 스스로 질문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질문을 장려한다.
다. 건설적인 측면에서 질문법을 향상시키는 데 애쓴다.
라. 역량을 강화하는 질문에 집중하고 그 반대의 질문은 피한다.
마. '정답'을 찾는데 급급하지 않고 질문과 답을 찾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바. 위험을 감수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한다.
10. 호기심을 활활 지피는 좋은 연료는 위대한 질문이다.
11. 회의를 마칠 때 해야 하는 질문
가. 어떤 일이 진행되었고, 어떤 성과가 있었죠?
나. 개선할 부분은 없습니까?
다. 위 질문에 대한 결과를 다음 회의 때 반드시 짚고 넘어간다.
12. 팀이 결집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명확한 목표이다. 질문은 팀의 목표를 명확하게 한다.
13. 혁신은 질문이 막힘없이 소통하는 환경 속에서 할 수 있는 위대한 질문에서 나온다.
14. 수업에서 질문(발문) 위주로 수업을 하면 수업 분위기가 어떻게 변할까?
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는 능력이 향상될까?
나. 질문과정에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다. 학력향상에 도움이 될까?
라. 질문위주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1) 11번을 참고하여 전시학습을 상기하는 질문하고 학생 스스로 정리
2) 교과서와 준비된 자료로 교사의 질문에 의해 학생 스스로 공부할 문제 찾기
3) 평소 학급 분위기를 9번과 같이 조성하기
4) 질문에 의해 찾은 문제 질문으로 교사의 창의적인 질문으로 학습방법 찾기
5) 찾은 학습방법에 의해 학습하기
가) 개인별 학습: 내면적인 질문으로 문제해결
나) 소집단 학습: 구성원간의 질문으로 문제해결
다) 대집단 학습: 개인별, 소집단 학습의 결과를 발표하고 상호간의 질문으로 창의적으로 학습문제 해결하기
교사는 조력적인 생산적인 질문으로 집중력 유지시키기
라) 11번으로 해결한 학습문제 정리하기: 공부할 문제는 무엇이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개선할 부분은(더 알고 싶은 부분)은 없는지?
'학교 리더십 > 질문법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리더십3-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1.05 |
---|---|
질문리더십2-마이클 J. 마쿼트 지음/최요한 옮김/유순신 감수 (0) | 2010.10.29 |
추론에 오류가 있는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0) | 2010.10.04 |
이슈와 결론은 무엇인가?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 (0) | 2010.10.01 |
11가지 질문도구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1-M. 닐 브라운; 스튜어트 M. 킬리 (0) | 201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