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2 1. 성취 수준은 학생의 장점에 맞춰 정해야 한다. 학생의 장점을 찾아 그를 바탕으로 어떤 목표에 집중하도록 하고 꾸준히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교사와 교수법에 대한 가장 올바른 정의다. -나의 수행평가 성취 수준은 부끄럽다. 안되는 학생의 능력에 맞춘 성취수준이 너무나 많다. 2학기에는 학..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14
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 -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 1. 사람은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지 질문해야 하고 또 대답을 준비해야 한다. 2. 나이가 들면서, 성숙해가면서, 세상의 변화에 맞춰 그 대답이 달라져야 한다. 3. 자신이 인간의 삶에 변화를 일으킨 적이 있는가? 4. 내가 잘하는 것과 나의 가치 중 어느 것을 택해야 될까? 5. 아침에 면도..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14
질문력-몸으로 드러나는 거짓말의 증거들 거짓말을 하게 되면 불안해지며 이런 불안감은 몸동작으로 드러난다. -눈동자의 움직임이 불안정하다.- -묻지도 않은 일을 얘기한다.- -손을 안쪽으로 모으고, 손끝이나 발을 떨거나 움직인다.- -단조롭게 얘기하고 말투가 빨라진다.-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8
질문력-거짓말을 밝히는 일은 사회안에서 이루어진다. 진짜 거짓말쟁이들 말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짓말쟁이가 아니라 기억을 잘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자신도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기억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자기도 잘못된 기억을 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흔히 교실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교실에서 물건이 없어졌다. 그 시간에 000이 ..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8
질문력-거짓말은 단지 기억이 다른 것일 뿐이다.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는 싸이코패스(정신병자)를 제외하면 거짓말은 한 사람은 심리적으로 상당한 부담감을 가진다고 한다. 나쁜짓을 했다는 혐오감과 자신이 매우 비천한 존재가 된 것 같은 기분을 느끼는게 보통이고, 거짓말이 클수록이런 감정은 더하다고 한다. 그래서 마음의 상처를 달래기 위해..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6
질문력 1. 질문이란 상대를 내 틀안에 가두는 것이다. 2. 질문하기 전에 질문의 목적을 생각하라. 내가 원하는 것은 진실인가?, 실리인가? 3. 상대방에게 도망갈 길을 열어 놓고 질문하라. 아무리 명확한 증거를 가지고 있더라도 실리를 취하고자 한다면 계속해서 인간관계를 맺고자 한다면 도망갈 길을 열어놓..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5
자존감-일상에서 행복할 수 있으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강한 성격의 소유자로 소문이 나 있는 편이다. 그러나 내가 생각 하건데 강한 성격이라기 보다는 남들이 하기 힘든 말을 잘 한다다는 것이다. 내가 교사이다 보니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부당한 것이 있으도 관리자(교장, 교감)에게 말도 안하고 속앓이(속병)만 하지만 나 같은 경우..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1
나를 사랑하는 자존감-인지 행동 치료 자존감이 낮은 아이에게 하루 중 열등감을 느낀 사건을 적고 그에 따른 떠오른 생각과 감정을 자세히 적고 마지막에 그 생각에 대한 합리적 비판을 적고, 수정된 합리적 행동을 적는다. 이것을 '인지 행동 치료'라고 한다. 예을 들면 1) 사건 : 오늘 등교길에 문방구점에 갔다. 학용품을 고르고 있는데 ..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7.01
방울 토마토와 오이가 상품 찌는 듯한 무더위로 아침부터 땀이 범벅되었다. 연일 합천이 최고 기온을 자랑하고 있으니 오죽하겠나도 싶다. 2교시 체육시간에 아이들과 게임활동을 하는데 의욕이 전혀 없다. 내가 생각해도 너무하는 날씨인데 체육관이 없으니 운동장에서 하는 체육이 오죽할까? 그래서 생각한 것이 게임활동에서.. 프로젝트수업(PBL) 2010.06.30
질문으로 학교 생활을 즐겁게 하자. 이제는 학교에 출근하는 것이 일상화되어서 또 자신감이 생겨서 두렵지가 않다. 초임 시절에 정말 학교 가는 것이 부담이 되었다. 거기에는 학교 관리자에 대한 거부감 또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금 그때를 떠올려보면 학교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보다 부정적인 생각이 더 많았던 것 .. 학교 리더십/질문법 & 리더십 201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