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가 잘못되었음에도 탁월한 개인의 역량으로 우리 사회가 진보했다면 그런 개인을 본받으려는 담론보다 사회 구조를 바꾸려는 실천적인 정치 담론이 더 필요하다.
사회 제도와 구조가 진보를 향하고 있음에도 우둔한 개인의 정치가 사회의 진보를 막는다면 제도와 구조를 탓할 게 아니라 우둔한 개인의 출현을 국민 주권으로 막아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구조와 개인에 대한 이해도가 다 다르고 지나치게 내가 좋아하는 개인의 입을 신뢰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진정으로 사회 진보를 바란다면 내가 좋아하는 개인이 사회 진보를 지향하는지, 정치적 입지를 굳히기 위한 저질의 언어와 남 탓 공방을 유발하는 갈등의 언어를 구사하는지는 상식의 시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문명을 지향하는 우리나라 정치인이 사회적 약자의 외침을 비문명적 행위라고 규정하는 게, 상식적인 눈으로 감싸줄 수 있는가?
기득권과 다른 정치를 하겠다는 정치인이 여하튼 자신의 잘못을 남 탓하며 갈등을 유발하는 게 기득권과 뭐가 다른 지도 상식의 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금의 우리나라의 문제, 문제가 있다고 하는 문제는 나이와 세대로만 해결할 수 없다. 현실 타계를 위한 정치 목적으로 내세운 인물, 내세워진 인물이 문명을 지향하는 정치인인지 아닌지는 그들의 사용 언어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합은 외치면서, 편 가르고 갈등을 조장하는 언어를 내뱉으며 수치스러워하지 않는 그들이 어찌 새로운 얼굴이고 대안이 될 수 있단 말인가?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다.
교육과 학교로 범위로 좁히면, 갈등을 조장하며 어느 한쪽을 몰아세워서 갈등을 해결하려는 정책과 태도는 문제 해결이 아니라 학교를 더 분열시키는 남 탓 공방만을 낳는다. 그 문제를 해결할 권한과 책임을 지는 사람 중심으로 협업해도 해결될까 말까 할 의문을 가진 문제를, 권한과 책임을 지는 사람이 문제라며 배제하고는 어떤 위원회를 만들어 해결하겠다는 발상으로는 고질적인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권한과 책임도 없는 위원회가 딱 부러지는 결정을 낼 수 없고 설령 그런 결정을 낸다고 하더라도 행정력으로 강제할 수 없다. 권고 정도일 것이다. 되풀이되는 항변이지만 그 권고를 이행하지 않는다고 도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 민원을 제기하면 학교장과 원만히 해결하라는 판에 박힌 메아리만 있을 것이다.
웬만한 학교 문제는 그 원인이 명백하다. 그 원인을 밝히려는 설문과 통계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 그 원인을 조금이라도 제거하려는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도 그 원인인 그 일을 하지 않으려는데 어떻게 문제가 해결될까? 위원회에서 이것은 우리가 할 테니 저것은 너희들이 해라는 식, 아니면 가치관이 개입된 원론을 내세워 우리가 할 일이 아니니 너희들이 다 해라는 식으로 해결될 수 있을까? 글쎄, 새로운 갈등만을 유발하지 않을까? 정작 갈등을 유발한 당사자는 타자가 되어 팔짱만 끼고 있고. 그러면서 그 타자는 ‘우리는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는 해결사 코스프레를 하고.
'교감 일기(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4월 1일 (0) | 2022.04.01 |
---|---|
2022년 3월 30일 (0) | 2022.03.30 |
2022년 3월 24일 (0) | 2022.03.24 |
2022년 3월 22일 (0) | 2022.03.22 |
2022년 3월 21일 (0) | 2022.03.21 |